- ITS 기본계획 21의 서비스 수용( 大7-中16-小63개 서비스)
- 서비스로부터 도출된 서브시스템으로 구성
국가차원에서 ITS가 제공하는 서비스와
서비스 구현을 위해 필요한 기능과 물리적 구성요소를 규정하는 ITS 의 기본틀, 청사진
ITS 구축 방향을 미래지향적으로 제시/계획, 설계, 표준 분야에 활용
- 서비스 이해가 용이한 기존의 절차지향 방법론 유지
- 중장기 서비스 발전을 고려한 서비스 기능 도출 및 표현
- 물리적개체가 수행해야하는 기능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개 체별 기능 할당
※ 4대 전략목표, 7대 서비스분야, 41개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1 음영 없이 즉각 대응 가능한 상황관리 체계마련
2도로 위험상황 집중 관리·대응 체계마련
<엣지형 스마트 CCTV>
<노면상태 관리시스템>
<위험상황 대응시스템>
1AI 기반 도로교통정보센터 고도화
2디지털 도로인프라 구축을 통한 교통운영 최적화
<스마트 교차로>
<개별차량 제어>
<무선 센서 네트워크>
1이용자 맞춤형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
2형평성·공공성 강화를 통한 차별 없는 교통복지 제공
<Maas>
<지간선 융복합 모듈형 운송>
<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>
1디지털 트윈 기반 교통관리 체계 구현
2스스로 자가진단 및 위험상황을 예방하는 능동형 도로인프라 혁신
<디지털 트윈>
<드론 활용 장애물 제거>
<스마트 폴(보행자 안전강화)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