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의 ITS

표준 및 아키텍처 소개

ITS 표준 및 아키텍처를 소개합니다

ITS 아키텍처

국가차원에서 ITS가 제공하는 서비스와
서비스 구현을 위해 필요한 기능과 물리적 구성요소를 규정하는 ITS 의 기본틀, 청사진

ITS 구축 방향을 미래지향적으로 제시/계획, 설계, 표준 분야에 활용

  • 국가 ITS 아키텍처(‘99)
    • ITS 기본계획 21의 서비스 수용( 大7-中16-小63개 서비스)
    • 서비스로부터 도출된 서브시스템으로 구성
  • 국가 ITS 아키텍처2.0(‘09)
    • 서비스 제공 주체와 서비스 간 연계성 (공공-민간 정보흐름)을 고려하여 서비스 분류
  • 국가 ITS 아키텍처 3.0
    • 변경된 서비스의 기능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존 절차지향 방식 유지
    • 물리적요소의 기능을 규정하고 기능 간 정보 흐름을 정의하는 물리아키텍처로 구성
    논리 아키텍처

    - 서비스 이해가 용이한 기존의 절차지향 방법론 유지

    - 중장기 서비스 발전을 고려한 서비스 기능 도출 및 표현

    물리 아키텍처

    - 물리적개체가 수행해야하는 기능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개 체별 기능 할당

안전
도로 위험 관리
  • 노면불량구간관리
  • 노면불량구간정보제공
  • 시계불량구간관리
  • 운전자 시계 향상 지원
  • 도로작업구간주행지원
  • 도로안전취약시설물관리
  • 차량추돌방지지원
  • 차량이상행동정보 제공
사고 및 재난 대응·관리
  • 돌발상황관리
  • 돌발상황정보제공
  • 특수지점돌발상황관리
  • 특수지점돌발상황정보제공
  • 사고발생자동통보
  • 긴급차량 접근정보제공
  • 도로부속밀 및 노변장비 상태관리
효율
교통류 최적화
  • 실시간교통류제어
  • 실시간신호제어
  • 우선처리신호제어
  • 교통규제위반단속
  • 교차로안전운행지원
  • 보행자안전이동지원
  • 보행자 충돌방지 지원
저탄소 성장형 교통관리
  • 교통공해 관리 및 지원
  • 환경규제기반 존 진입제어
편리
생활 밀착형 통합모빌리티 지원
  • 대중교통운행관리및이용지원
  • 준대중교통운행관리
  • 대중교통통합예약
  • 대중교통요금징수
  • 여행경로정보제공
  • 위치기반 교통편의정보제공
  • 위치기반전자요금징수
  • 협력형차량추종제어
  • IVS 활용 전방정보제공
특수 목적형 차량 이동지원
  • 특수목적차량운행관리
  • 특수목적차량경로정보제공
  • 교통규제정보제공
  • 교통규제기반 경로정보제공
  • 교통약자탑승차량 안전운행 지원
혁신
통합교통정보 연계·관리
  • 데이터 통합관리
  • 지역 단위별 교통문제 해결지원
  • 수요예측 기반 교통류 최적화 지원

※ 4대 전략목표, 7대 서비스분야, 41개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목표1. 안전성
안전 사각지대 Zero화, 실시간 예방·대응 가능한 도로교통환경
  1. 1 음영 없이 즉각 대응 가능한 상황관리 체계마련

    • (정밀 관제) 스마트 CCTV 시스템 전국 확대 구축
    • (현장 대응) 현장기반 대응체계 고도화(현장장치, 센서) 및 엣지형 CCTV 구축
    • (수집 확대) 자율차 및 드론 활용 현장 모니터링 체계 마련
  2. 2도로 위험상황 집중 관리·대응 체계마련

    • (도로상황 관리) 사고 잦은 곳, 결빙취약구간, 공사구간 등 도로상황 실시간 관리체계 구축
    • (위험요인 대응) 위험상황 능동 대응체계 마련(위험경고 시스템, 스마트 도로조명시스템)
    • (위험정보 제공) 통합 도로상황정보 실시간 공유체계 마련
    • <엣지형 스마트 CCTV>
    • <노면상태 관리시스템>
    • <위험상황 대응시스템>
목표2. 효율성
맞춤형 교통 서비스 지원, 데이터 AI 융합 ITS 관리체계 구현
  1. 1AI 기반 도로교통정보센터 고도화

    • (센터 확대) 데이터·AI 기반 교통운영관리 및 교통센터 확대
    • (센터 고도화) 지능형 센터 운영플랫폼 개발 및 구축, 영상분석센터 구축
    • (데이터 공유) 민관 데이터 개방·공유 · 활용 촉진
  2. 2디지털 도로인프라 구축을 통한 교통운영 최적화

    • (디지털 도로망) 능동적 교통관리를 위한 I2X(인프라-차량-센터) 연결성 강화
    • (스마트 신호) 감응신호, 긴급차 우선신호 등 스마트 신호운영체계 확대
    • (교통류 최적화) 개별차량 제어를 통한 안전성, 도로이용 효율 극대화
    • (안전주행 지원) 디지털 도로망 활용 자율차 안전주행 지원 및 협력주행 강화
    • <스마트 교차로>
    • <개별차량 제어>
    • <무선 센서 네트워크>
목표3. 편리성
언제, 어디서나, 누구에게나 편리한 포용적 모빌리티 제공
  1. 1이용자 맞춤형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

    • (MaaS)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환경 조성(공유 플랫폼 및 모빌리티 데이터 거래소 개발)
    • (쾌적한 대중교통) 비대면 사회에 따른 밀집형 대중교통 서비스 고도화(자동방역 등)
    • (첨단 대중교통) 수요자 중심 자율주행 기반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
  2. 2형평성·공공성 강화를 통한 차별 없는 교통복지 제공

    • (교통 소외지역 해소) 교통 소외지역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수요 응답형 교통서비스 확대
    • (교통약자 지원)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 접근성 향상
    • <Maas>
    • <지간선 융복합 모듈형 운송>
    • <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>
목표4. 혁신성
스스로 상황을 진단, 제어하는 디지털 인프라 혁신
  1. 1디지털 트윈 기반 교통관리 체계 구현

    • (노드링크 고도화) 데이터·AI 기반 교통운영관리 및 교통센터 확대
    • (인프라 플랫폼) 클라우드소싱 방식의 정밀도로지도 갱신 체계 마련
    • (디지털 트윈) 시뮬레이션 기반 예측 환경 조성
  2. 2스스로 자가진단 및 위험상황을 예방하는 능동형 도로인프라 혁신

    • (원격관리) 기존 노변 장치 관리기능 강화(loT 시설관리, 안전진단 드론 등)
    • (스마트화) 능동형 인프라 구축 확대(스마트 폴, 스마트 크로싱, 노상관리 드론)
    • <디지털 트윈>
    • <드론 활용 장애물 제거>
    • <스마트 폴(보행자 안전강화)>